
지난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낙태죄 헌법 불합치” 판정을 내린 가운데, 국회에서는 2020년 12월 31일까지 현행법을 개정해야 했으나 개정안을 채택하지 않아 현재 대한민국은 낙태죄는 공백상태에 있다. 명목상이라도 지키고 있던 태아 보호의 울타리가 없어진 것이다.
대한산부인과 의사회가 발표한 2017년 낙태 건수는 약 110만 건으로, 같은 해 태어난 신생아수인 35만7천 명에 비해 몇 배는 높게 나왔다. 태어나는 아기에 비해 얼마나 많은 아기들이 세상 빛도 보지 못한 채 엄마 배 속에서 죽어 가는지, 그 실상은 충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생명존중의 정신 아래 산모의 건강한 출산과 태아의 생명을 모두 보호하려 한 프로라이프 연대 62개 단체와 관련하여 ‘남성프로라이프연대’가 설립되고 첫 세미나를 열어 주목된다.
이번 세미나를 준비한 이재욱 목사(카도쉬아카데미 공동대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사실상 ‘낙태죄’를 여성의 일로만 치부하고 남성은 방관자적인 입장을 취했으나 이제는 변화가 필요한 시기다. 생명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책임이 있고, 실제적 생명의 제공자인 남성에게 더 중대한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법이 어떤 모양으로 제정되든 이 운동은 필수적이며, 남성도 책임감을 가지고 생명의 부양자로서 여성과 태아에 대한 책임의 목소리를 낼 때다”고 설명했다.
생명운동연합 사무총장 김길수 목사는 축사에서 “오늘 발제를 통해서 생명운동에 더 많은 남성들이 참여하기를 기대하며, 생명운동이 입양활동으로 한 단계성숙하고, 조국교회가 생명운동에 앞장설 것을 소망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생명문제를 이제 남성과 여성의 대립이 아닌 공동의 책임을 갖고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로 지혜를 마련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남성 프로라이프 운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행동하는프로라이프 남성연대가 주최하고, 카도쉬아카데미가 주관하여 2월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됐다. 세미나는 1부 개회식과 2부 토론회으로 나뉘며, 전체 사회자로는 카도쉬아카데미의 공동대표 이재욱 목사가 나섰다. 발제 및 토론은 김대진 목사(코람데오닷컴 발행인)가 좌장으로, 김동진 목사(카도쉬아카데미 교육위원장)가 ‘미국 프로라이프 역사와 한국 프로라이프 남성운동의 방향성’을, 오창화 대표(전국가족입양연대)는 ‘입양 운동과 남성의 역할’을, 이상원 교수(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는 ‘생명운동에 있어서 남성의 성경적 역할’에 대해, 박준우 목사(카도쉬 유스미니스트리 대표)는 ‘교회와 가정에서 생명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남성 역할 중심)’를 발제됐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남성 발제에 대한 여성 입장에서의 제언을 더했다. 이에 장지영 교수(이대서울병원), 배지연 박사(사회복지학 Ph.D.), 황지영 교수(고신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신정아 전도사(총신대 기독교교육학 Ph.D.과정)가 토론자로 나섰다.
김대진 목사는 좌장으로서 “성경에서는 생명이 하나님께 속한 것이며, 모태에서부터 사람을 아시고 택하셨다고 말씀하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한 해 100만 명이 넘는 태아의 피흘림에 사실상 침묵했다. 한 생명을 구원하기 위하여 영혼 구령을 외치던 모습의 이면에는 꽃을 피우지도 못하고 뱃속에서 죽어간 생명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다”고 말했다. “교회 지도자들과 중직들은 대부분 남성들로서 이에 대한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제라도 남성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와 세상에서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고 생명에 대해 외쳐야 한다. 가정과 교회의 영적 리더인 남성이 일어날 때, 교회와 세상에 생명의 새 바람이 불 것이다”라며 발제와 토론을 이끌었다.

이번 행사에 주목할 부분은 생명운동에 있어서도 여성들의 일만으로 여겨지던 것에 생명의 부양자인 남성들이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 방향성과 시각에 여성의 관점으로 제언을 더하여 ‘생명운동은 남성과 여성의 일’이며 ‘함께 만들어나가는 것’이라 밝힌 점이다.
이재욱 목사(카도쉬아카데미 공동대표)는 “교회 지도자들과 중직들은 대체로 남성들이 많은 수를 맡고 있다. 이에 그리스도인 남성들은 교회와 세상에서 생명에 대해 말하며 더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제는 하나님께서 주신 생명에 대해 남성들은 소리를 내며 태아를 지켜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한국에서 일어나야 할 생명운동과 그 운동에 동참하는 남성들의 역할, 입양과 교회교육의 방향성들을 논하며 세상과 사회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코자 한다”고 설명했다.
